IMQA GUIDE
IMQA자주 묻는 질문개발자 포럼Release Note
KOR
KOR
  • Introduction
    • IMQA 바로가기
    • IMQA 알아보기
    • IMQA 문의하기
  • Installation
    • IMQA 시작하기
    • IMQA 설치 매뉴얼
    • Android
      • 지원 환경
      • 설치 전 확인 사항
      • Sample 앱 테스트
      • MPM 설치
      • MPM 설정
      • Crash 설치
      • Crash 설정
      • 릴리즈 노트
    • iOS
      • 지원 환경
      • 설치 전 확인 사항
      • Sample 앱 테스트
      • MPM 설치
      • MPM 설정
      • Crash 설치
      • Crash 설정
      • 릴리즈 노트
    • React Native
      • Android
      • iOS
      • React Native Library 설정
    • Cordova
      • Android
      • iOS
    • Morpheus
      • Android
      • iOS
    • W Hybrid
    • Web (WPM)
  • User Guide
    • MPM 사용하기
      • 프로젝트 리스트
      • 성능 대시보드
      • A/B 대시보드
      • 화면 성능 분석
      • 성능 상세 분석
      • 행동분석
      • 지역 분석
      • 통계
      • 보고서
      • 알림
      • 관리
    • Crash 사용하기
      • 프로젝트 리스트
      • 대시보드
      • 에러 상세
      • 에러 검색
      • 통계
      • 설정
    • WPM 사용하기
      • 시작하기
      • 프로젝트 리스트
      • 성능 대시보드
      • 페이지 성능 분석
      • 성능 상세 분석
      • 행동분석 역추적
      • 통계
      • 보고서
      • 알림
      • 관리
    • WCrash 사용하기
      • 시작하기
      • 프로젝트 리스트
      • 대시보드
      • 에러 상세
      • 에러 검색
      • 통계
    • IMQA 데이터 읽기
      • MPM - 1. 실시간 모니터링
      • MPM - 2. 전체 모니터링(통계)
      • MPM - 3. 웹뷰 타임라인
      • WPM 데이터 읽기
      • Crash 데이터 읽기
      • WCrash 데이터 읽기
    • IMQA 활용하기
  • FAQ
    • 자주 묻는 질문
      • IMQA 서비스 소개
      • 타 서비스와의 차이점
      • 회원 가입・관리
      • Crash・MPM 설치하기
      • 프로젝트 설정・관리
      • Crash 사용 관련
      • MPM 사용 관련
      • 알림 설정
      • 데이터 이해하기
      • 데이터 수집 / 확인 / 사용량
      • 개인 정보・보안
      • 기타 문의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IMQA Sample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연동하기
  • 기본 사용방법
  1. Installation
  2. Android

Sample 앱 테스트

Last updated 1 year ago

아래 영상을 통해 샘플 앱 설치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샘플앱 SDK는 github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IMQA Sample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 연동하기

1. Project gradle 설정

Project Root에 위치한 build.gradle에 다음과 같이 buildscript를 추가합니다.

buildscript {
    repositories {
        google()
        mavenCentral()
    }
    dependencies {
        classpath 'io.imqa:imqa-mpm-injector:2.25.8'
    }
}

2. App Gradle 설정

App에 있는 build.gradle 에 다음과 같이 imqa라이브러리 dependency를 추가 후 gradle action을 추가합니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io.imqa:imqa-core:2.27.5'
    implementation 'io.imqa:imqa-mpm-client:2.27.9'
    implementation 'io.imqa:imqa-crash-client:2.27.5'
}


io.imqa.IMQAPlugin imqaPlugin = new io.imqa.IMQAPlugin()
imqaPlugin.init(project)
new io.imqa.injector.GJavacAction(project.name).setConfiguration(project)
android.applicationVariants.all { variant ->
    variant.javaCompile.doLast { task ->
        new io.imqa.injector.CompileAction(
                io.imqa.injector.util.BuildOption.BUILD_LOCATION_TYPE.javacClasses,
                project.name,
                io.imqa.injector.GJavacAction.convertBuildType(variant.getBuildType()),
                io.imqa.injector.GJavacAction.makeFlavor("imqa", variant)
        ).execute(task)
    }
}

3. application 설정

Android Application에 IMQA Agent 코드를 삽입합니다.

io.imqa.mpm.IMQAMpmAgent.getInstance()
       .setOption(imqaOption) // MPM 의 동작 방식을 정하는 옵션을 설정합니다.
       .setContext(this, "") // Application Context 를 초기화 합니다.
       .setProjectKey(projectKey) // IMQA MPM Client 의 Project Key 를 설정합니다.
       .init();

이 때 샘플 앱에서는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키만 넣도록 되어 있습니다.

imqa.android.sample.App.java

SharedPreferences pref = getSharedPreferences("IMQA_SampleConfig", MODE_PRIVATE);
String serverUrl = pref.getString("serverUrl","http://collector.imqa.io");
String crashServerUrl = pref.getString("crashServerUrl","http://collector.imqa.io");
String projectKey = pref.getString("projectKey","<프로젝트 키를 넣어주세요>");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발급받은 프로젝트 를 projectKey 코드에 넣어주세요. 프로젝트 키 삽입 후 앱을 빌드하여 Run 하면 다음과 같이 앱이 실행됩니다.

기본 사용방법

IMQA는 성능 데이터를 수집 후 수집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앱이 재기동 되는 시점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를 생성 후(앱을 사용 후) 설정된 수집 주기만큼 기다리거나, 앱을 껐다 켜면 앱이 IMQA 수집 서버로 전송됩니다.

MPM Activity

MPM Activity에서는 기본적으로 화면 로딩시간, 네트워크 응답시간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Make Network: 네트워크 응답을 생성합니다.

  • Show Slow Activity: 기본적으로 메뉴 버튼을 누르면 화면 로딩시간이 측정되나, 'Show Slow Activity' 클릭하면 강제로 화면을 늦게 로딩시킵니다. 화면을 늦게 로딩시키는 기능이기 때문에 'Show Slow Activity' 기능을 누르면 약 5초동안 화면 로딩이 되면서 이벤트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Crash Activity

Crash Activity에서는 Crash를 발생시키고, ANR를 발생시켜보는 테스트 기능이 있습니다.

  • Make Crash: Crash를 발생시킵니다. 앱이 꺼집니다.

  • Show Slow Activity: ANR(Application Not Responding)을 발생시킵니다. ANR이 발생하는 15초동안 아무런 이벤트가 입력되지 않습니다

Webview Activity

Setting Activity

Setting Activity에서는 서버 설정, Project Key 변경과 같은 기능이 제공됩니다.

* kotlin의 경우 설정이 다를 수 있으니 설치 가이드를 꼭 참고하세요. []

MPM Activity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서비스 콘솔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 페이지에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Crash Activity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서비스 콘솔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 페이지에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Webview Activity에서는 IMQA Webview Agent가 이미 적용되어 있는 페이지를 통해 웹뷰 성능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IMQA Webview Agent는 앱이 아닌 웹 페이지에 js파일을 삽입해야 하며, 자세한 설치 가이드는 다음 문서에 있습니다. []

[AOS] SDK 설치하기
자세히 보기
자세히 보기
imqa.io
github 바로가기
설치 가이드 보기
설치 가이드 보기